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. 5년간 월 최대 70만 원씩 납입 시 만기 후 최대 5천만 원을 받을 수 있으니 은행별로 우대금리를 비교 후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걸로 가입하시면 됩니다.
청년도약계좌란?
만 19세 이상이며 만 34세 이하 청년이 가입가능한 계좌로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일정비율의 정부지원금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 사업입니다. 이자소득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으며 만기 5년 동안 최대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정리 안내
- 가입일 : 2023년 6월 15일 부터 가입 가능
- 가입대상 : 만 19세~ 만 34세 청년 (병역기간 최대 6년 제외)
- 개인소득 : 연 6,000만원6,000만 원 이하 (소득이 6,000만 원~ 7,500만 원인 경우 정부 기여금 없이 비과세 혜택만 부여함)
- 가구소득 : 중위소득 180% 이하
- 가입처 : 시중 은행에서 가입 가능
- 개인 소득이 없는 경우 가입 불가
- 가입요건 충족시 부부 각각 가입 가능
청년도약계좌 적금 방식
- 매월 최소 1천원 부터 최대 70만원 이하 자유적립식(만기 후 이자는 비과세)
- 정부지원금은 개인소득에 따라 차등으로 지원됨(월 21,000원~ 24,000원)
- 가입기간 : 5년 (적금담보대출 운영 예정)
- 최대 금리 : 6% (우대금리 포함이며 모든 은행 동일) - 우대금리 조건을 확인하여 자신에게 맞는 은행에서 가입하기
※ 정부의 기여금은 개인소득과 납부 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.
개인소득(총급여 기준) | 기여금 지급한도(월) | 기여금 매칭비율 | 기여금 한도(월) |
2,400만원 이하 | ~40만원 | 6.0% | 2..4만원 |
3,600만원 이하 | ~50만원 | 5.6% | 2..3만원 |
4,800 만원 이하 | ~60만원 | 3.7% | 2.2만원 |
6,000 만원 이하 | ~70만원 | 3.0% | 2.1만원 |
7,500만원 이하 | - | - | - |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안내
1. 신한은행
- 급여 이체 실적 (50만 원 이상, 30개월 이상 이체했을 시) : 0.3% 추가
- 신한카드(신용, 체크) 월평균 1원 이상 사용실적이 있을 시 : 0.3% 추가
-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예적금(청약) 미보유자 : 0.4% 추가 지급
2. 농협은행
- 급여 이체 실적 (50만원 이상 급여 이체 시) : 최대 0.5% 추가지급
- 마케팅 정보 수신 전체동의 시 : 0.2% 추가지급
- NH 카드(신용, 체크) 월평균 20만 원 이상 사용 실적이 있을 시 : 0.2% 추가 지급
- 청약가입/ 청년\희망적금 만기해지 시(중복 불가) : 0.1% 추가 지급
3. 우리은행
- 급여 이체 실적 (50만 원 이상, 36개월 이상 이체 시) : 0.6% 추가 지급
- 우리 카드(신용, 체크) 월 10만 원 이상 사용 실적이 있을 시 : 0.2% 추가지급
-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예적금(청약) 미보유자 : 0.1% 추가지급
4. 하나은행
- 급여 이체 실적 (50만 원 이상, 36개월 이상 이체 시) : 0.6% 추가 지급
- 마케팅 정보 수신 전체동의 : 0.1% 추가지급
- 하나카드(신용, 체크) 월 10만 원 이상 사용 실적이 있을 시 : 0.2% 추가지급
- 직전 1년간 하나은행 예적금(청약) 미보유자 : 0.1% 추가지급
5. 국민은행
- 급여 이체 실적 (50만 원 이상, 36개월 이상 이체 시) : 0.6% 추가 지급
- 자동이체 2건 이상 또는 리브엠 요금 36개월 이상 : 0.3% 추가 지급
- 주택청약 신규가입 또는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시 : 0.1% 추가 지급
6. 기업은행
- 급여 이체 실적 (50만 원 이상, 36개월 이상 이체 시) : 0.6% 추가 지급
- 마케팅 정보 수신 전체동의 : 0.1% 추가지급
- 기업카드 사용실적 또는 자동이체 2건 이상 있을 때 : 0.2% 추가지급
- 실명등록일 3개월 이내 또는 수신금액 0원인 고객 : 0.3%
신한, 농협, 우리, 하나, 국민, 기업은행은 기본금리 4.5% + 소득 우대금리 최대 0.5%+ 은행별 금리 최대 1.0%를 지급합니다.
7. 전북은행
- 급여 이체 실적 (50만 원 이상, 36개월 이상 이체 시) : 0.7% 추가 지급
- 마케팅 정보 수신 전체동의 : 0.2% 추가지급
- 자동이체 월 1건 이상 연결 : 0.3% 추가지급
- 전북은행카드 1원 이상 30개월 이상 사용 시 : 0.5% 추가지급
8. 광주은행
- 급여 이체 실적 (50만 원 이상, 36개월 이상 이체 시) : 0.5% 추가 지급
- 광주은행 카드(신용, 체크) 총 500만 원 이상 사용 시 : 0.5% 추가지급
- 직전 1년간 광주은행 예적금 미보유자 : 0.5% 추가지급
- 해지원금 3천만 원 이상 만기해지 : 0.2% 추가지급
전북은행, 광주은행은 기본 금리 3.8% + 소득 우대금리 최대 0.5% + 은행별 금리 최대 1.7%를 지급합니다.
9. 대구 은행
- 마케팅 수신 동의 시 : 0.3% 추가이체
- 자동이체 연결 시 : 0.7% 추가 지급
- 주택청약 개설 시 : 0.5% 추가 지급
10. 부산 은행
- 급여 이체 실적(50만 원 이상, 30개월 이상 이체 시) : 0.5% 추가 지급
- 직전 3년간 예적금 미보유 시 : 0.5% 추가 지급
- 카드 사용 실적 : 0.5% 추가 지급
11. 경남 은행
- 급여 이체 실적(50만원 이상, 30개월 이상 이체 시) : 0.7% 추가 지급
- 직전 1년간 예적금 미보유 시 : 0.4% 추가지급
- 주택청약 개설 시 : 0.4% 추가 지급
대구은행, 부산은행, 경남은행은 기본금리 4.0% + 수득, 우대금리 최대 0.5%+ 은행별 금리 최대 1.5% 로 지급합니다.
청년 도약 계좌가입 시 저소득층 청년 지원을 위한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(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(재직자) 내일채움공제, 지자체 상품 등)에 동시가입이 허용됩니다.
청년희망적금은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로 순차 가입이 허용됩니다. (중복 가입 불가) 청년 도약계좌는 올해 한정 상품이 아닌 내년에도 계속 가입이 가능하므로 청년 희망적금에 가입 중이시라면 청년 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 도약계좌로 가입하시는 걸 추천드립입다.
소득요건에 의해 정부지원금을 받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금리에 대한 이자 소득세를 떼지 않는 비과세 상품 혜택이 매우 좋고 월 적립이 자유로운 자유 적립식 적금이므로 가입이 가능하시면 우선 가입을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2분기 신청하기-지원금 25만원 (0) | 2023.06.19 |
---|---|
삼성 휴대폰 잃어 버렸을 때 찾는 방법-내 디바이스 찾기 (0) | 2023.06.16 |
내가 먹는약 한눈에 서비스-내 진료내역, 처방기록, 먹는약 찾는 방법 (0) | 2023.06.15 |
경기도 2023 처음 시작하는 포토샵 무료 강의 듣기 (0) | 2023.06.14 |
2024년 국가자격증 아이돌봄이,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신설 (1) | 2023.06.13 |